본문 바로가기

Study/ADsP

[ADsP] 1.1.1 데이터와 정보

(ADsP 요약 정리)

과목1. 데이터 이해

제1장 데이터 이해

제1절. 데이터와 정보


  1. 데이터의 정의

. 1646년 영국 문헌에 라틴어인 dare(주다, to give)의 과거분사형으로 ‘주어진 것’이란 의미로 처음 사용

. 옥스퍼드 대사전 -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(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갖는것)


[존재적 특성] 객관적 사실

[당위적 특성] 추론, 예측, 전망, 추정을 위한 근거


데이터의 유형

[정성적 데이터] 언어, 문자 등으로 그 형태와 형식이 정해져 있음 (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기술적 투자가 수반됨)

[정량적 데이터] 수치, 도형, 기호 등으로 데이터의 양이 크게 증가하더라도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저장, 검색, 분석하여 활용하기 매우 용이함


. 암묵지

: 개인에게 습득되어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지식

: 개인에게 체화되어 있어 외부에 표출되어 다른 사람에게 옹유하기 어려움

. 형식지

: 형상화된 지식

: 유형의 대상이 있기 때문에 지식의 전달과 공유가 매우 용이함


개인에게 ( 내면화 )된 지식을 조직의 지식으로 ( 공동화 )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암묵지를 ( 표출화 )하고 다시 다른 개인의 지식에 ( 연결화 )를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을 부가하여 다시 내면화 하는 상호 순환작용이 필요


  1. 데이터와 정보의 관계

DIKW 피라미드(데이터 → 정보 → 지식 → 지혜)

. 데이터(Data) : 존재형식을 불문하고, 타 데이터와 상관관계가 없는 가공하기 전의 순수한 수치나 기호를 의미(A마트는 100원, B마트는 200원에 연필을 판매함)

. 정보(Information) : 데이터 가공 및 상관관계 간 이해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고 그 의미를 부여한 데이터(A마트의 연필가격이 더 싸다)

. 지식(Knowledge) : 상호 연결된 정보 패턴을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예측한 결과물(상대적으로 저렴한 A마트에서 연필을 사야겠다)

. 지혜(Wisdom) : 근본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창의적 아이디어(A마트의 다른 상품도 B마트보다 쌀 것이라고 판단)